철학정리

에드문트 후설 현상학의 창시자

쏘심 2023. 12. 27.
반응형

독일의 철학자이자 현상학의 창시자인 에드문트(Edmund Husser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물 탐구 에드문트 후설

에드문트 후설은 1859년 오스트리아 제국의 프로이센 왕국에 위치한 프로이센버그에서 유대계 출신 가정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어려서 그는 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습니다. 이런 재능은 나중에 후설의 철학에서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면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1876년 후설은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수학, 물리학, 천문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에 베를린에 프레데릭 월리엄 대학교에서 철학과 심리학을 깊이 있게 공부했습니다. 1883년에 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1884년 비엔나 대학교에서 프란츠 브렌타노교수를 만나 철학에 대해 깊이 빠져들게 되었습니다. 브렌타노 교수는 경험에 대한 인지적 특징을 강조하는 강의를 하였고 이는 후설의 현상학 연구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1901년 후설은 하이델베르크 대학으로 옮겨 현상학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오랜 연구와 노력으로 1907년에 "현상학적 탐구"를 발표하여 현상학의 기본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그의 연구는 경험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사고를 중심으로 했습니다. 현상학 탐구의 중심 개념인 '에포케'와 '노마이'는 그의 주요 저작인 "현상학적 탐구"에 처음으로 소개되었습니다. 이들 개념은 주관자의 의식과 경험 객체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후설은 현상학을 통해 객관성과 주관성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경험의 의미를 철학적으로 이해하려고 했습니다. 그의 현상학은 "사물 자체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이는 후대의 구조주의와 실존주의 등 다양한 철학적 운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적 탐구"에 대해 알아보기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적 탐구"는 그가 창시한 현상학의 주요 개념과 주장을 담고 있는 저서입니다. 현상학은 경험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의미하며, 주관자의 의식과 경험 객체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철학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입니다.
1. 현상학 (Epoch): 현상학은 주관자가 세계에 대한 선험적인 믿음과 가정을 중단하고 중립적으로 경험을 조사하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주관자는 세계에 대한 개념, 신념, 선험적인 편견을 제거하여 순수한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주관자는 사물 자체에 미리 정해진 개념이나 해석 없이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2. 사색하는 과정 : 사색하는 과정은 주관자의 의식이 사물을 경험할 때의 의미적 구조를 나타냅니다. 사색하는 과정은 사물의 의미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는 주관자의 의식과 더불어 경험의 전체적인 의미를 형성합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노마스는 주관자의 의식 자체를 나타내며, 주관자가 사물을 어떻게 인식하고 파악하는지를 나타냅니다.
3. 아이디어와 주관자의 의식 구조: 아이디어는 사색하는 과정의 개념 중 하나로 개별적인 사색의 일반적인 의미나 법칙적인 면을 나타냅니다. 이는 주관자의 의식이 특정한 개별 사물에 대한 경험을 일반화하고 일반적인 법칙이나 의미를 형성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4. 회고 및 주관적 시간: 후설은 주관자의 의식이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에 대한 경험에도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주관자가 미래의 가능성이나 목표를 고려하는 것뿐만 아니라 과거의 경험을 회상하여 현재의 의미를 형성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했습니다.
5. 의도성 (Intentionality): 후설은 의식이 항상 어떤 대상을 향하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모든 의식은 어떤 대상이나 내용을 갖고 있으며 의식과 그 대상 간의 관계를 강조했습니다. 이것은 주관자의 의식이 항상 어떤 대상을 향해 "지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개념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개념과 주장을 통해 후설은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주관자의 의식과 경험 객체 사이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려고 했습니다. 그의 저서 "현상학적 탐구"는 개념적 탐구와 분석을 통해 경험의 본질을 규명하고, 주관성과 객관성 간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철학적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을 제시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