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정리

아리스토텔레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쏘심 2023. 12. 7.
반응형

플라톤의 제자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했습니다. 그리스 철학사에 큰 영향을 끼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물 탐구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에 마케도니아 왕국의 스태기라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 니콰메도스는 마케도니아에 있는 의회에서 군사와 정치적인 일을 담당한 인물이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성장하여 아테네로 유학을 떠났고, 철학자 플라톤의 아카데미에서 학문을 시작했습니다. 플라톤은 그의 첫 스승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기반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플라톤과는 다르게,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적이고 경험에 기반한 철학을 추구했습니다.
40대에 마케도니아에서 머물렀던 아리스토텔레스는 알렉산더 대왕이 어린 시절에 그의 교사가 되었습니다. 알렉산더의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이는 나중에 그의 다양한 철학적 업적으로 이어졌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아리스토텔리안 철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이며, 여기서는 행복과 선한 삶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는 또한 '형이상학'에서 실재와 현상에 대한 개념을 탐구하였고, '논리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그의 사후에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중세 유럽과 이슬람 세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계속해서 연구되고 발전되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그 후의 서양 철학에 깊은 흔적을 남겼고 이론은 중세 철학, 신화학, 현대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주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에 대한 고찰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주장은 그의 철학적 사고의 핵심 부분 중 하나입니다. 이 주장은 그의 작품 중 주로 '정치학'에서 다루어졌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사회적 동물로서의 본질을 개인적인 이익과 안전을 추구하기 위해 태어난다고 봅니다. 그는 인간이 혼자서는 완전한 삶을 살 수 없으며 다른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고 보다 높은 가치를 찾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어로 "포리아(Polis)"라고 불리는 도시나 국가가 인간의 사회적 본질을 발현시키는 곳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개인이 공동체에서 행복과 선한 삶을 찾을 수 있다고 봤으며, 이러한 관점은 그의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로서 언어가 인간의 사회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고 봤습니다. 언어는 생각과 감정을 다른 이들과 공유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로 작용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선한 생활을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공동체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선한 행동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발전하며, 공동체 안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더 높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개인이 사회적인 공동체 안에서 살면서 안전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개인과 공동체의 이익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이는 법과 제도를 통해 유지되며, 공동체 구성원들은 상호 협력과 상호 지원을 통해 안정성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러한 관점은 현대 사회학 및 정치학에서도 여전히 주요 주제로 다뤄지며, 인간은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공동체 속에서 보다 의미 있는 삶을 찾으며 발전한다는 개념은 여전히 중요한 사상으로 간주됩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남긴 명언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철학적인 접근과 깊은 사고로 유명합니다. 그의 작품에서 여러 명언들을 찾을 수 있는데 그중 몇 가지만 찾아보았습니다.

  1. "우리는 우리가 반복하는 행동이 아니라, 습관이 우리를 형성한다."
    • (We are what we repeatedly do. Excellence, then, is not an act, but a habit.)
    • 이 명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선한 삶을 위해 습관과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입니다.
  2. "행복은 무엇보다도 최고의 좋은 것이다."
    • (Happiness is the highest good.)
    • 이 명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행복을 삶의 최고 가치로 여긴 것을 나타냅니다.
  3.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동물이다."
    • (Man is by nature a social animal.)
    •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사회적이며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더 높은 가치를 찾는다는 개념을 강조했습니다.
  4. "지혜는 나이와 함께 온다."
    • (Wisdom comes with age.)
    • 이 명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식과 통찰력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더 높아진다는 관점을 나타냅니다.
  5. "공평성은 선한 사람에게서 나온다."
    • (Fairness comes from good people.)
    • 이 명언은 선한 행동과 선한 사람이 공평성을 향상시키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6. "존경받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자기 존경이 더 중요하다."
    • (It is the mark of an educated mind to be able to entertain a thought without accepting it.)
    • 아리스토텔레스는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것이 교육된 마음의 특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명언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인 이해와 인생의 지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반응형